반응형
SH, LH 공고를 볼때마다 항상 헷갈리고 복잡하던 소득 기준을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📌 목차
1. 핵심 요약: 50·70·100만 기억하세요
- 매입임대주택: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50% 이하
- 국민임대주택: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% 이하
- 행복주택: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
➡️ 이 세 가지만 기억하면 대부분의 공공임대주택 소득 기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표
가구원 수 | 50% (매입임대) | 70% (국민임대) | 100% (행복주택) |
1인 | 2,518,715 원 | 3,238,348 원 | 4,317,797 원 |
2인 | 3,286,202 원 | 4,381,602 원 | 6,024,703 원 |
3인 | 3,813,487 원 | 5,338,881 원 | 7,626,973 원 |
4인 | 4,289,044 원 | 6,004,662 원 | 8,578,088 원 |
⚠️ 실제 공고에서는 1인 가구 20%, 2인 가구 10% 가산 등 세부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.
📈 해마다 소득 기준 금액은 통계청이 발표하는 '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'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.
2. 공공임대주택 소득 기준, 더 알아야 할 것들
📌 공고마다 다르다
- 기본은 50·70·100%지만,
- 집 크기, 유형(청년/신혼/장기미임대 등),
- 자격 완화 공고 등 상황에 따라 소득 기준이 더 완화되거나, 아예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.
📝 소득 기준 없는 공고도 많다
- 특히 서울·경기 외 지역이나, 수시모집/자격완화 공고에서는 소득 기준이 아예 없는 경우도!
- 원하는 지역에서 자주 나오진 않지만,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확인하세요.
💰 내 월급에 따라 지원 가능한 주택이 다르다
- 월급 250만 원: 거의 모든 공공임대주택 지원 가능
- 월급 300만 원: 국민임대, 행복주택, 장기임대 등 지원 가능
- 월급 400만 원: 행복주택, 장기전세, 청년/신혼부부 매입임대 등 가능
- 월급 450만 원 이상: 장기전세, 일반공급 위주로 가능
3. 소득 산정 방법, 이것만 알면 OK
👩💼 직장인(근로소득자)
-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고된 '건강보험 보수월액'이 기준
- 급여명세서의 건강보험료 납부액 ➗ 0.03545로 간단 계산 가능
- 연말정산/원천징수보다 건강보험 기록이 우선!
👨💻 프리랜서/사업자
- 홈택스 '소득금액증명' 발급 → 연 소득 ➗ 12 = 월 소득
- 신고 시점에 따라 1~2년 전 소득이 반영될 수 있어, 소득이 낮았던 자료로 신청하면 유리할 수 있음.
📄 기타 소득
- 재산소득(이자·배당 등)은 연 2,000만 원 초과분만 반영
- 아동수당, 양육수당, 군인 월급 등은 소득 포함 ❌
4. 소득 조사 시점과 이의제기(소명) 방법
- 조사 시점: 모집 공고일 기준 소득
- 소명 가능: 공고일 이전 퇴사는 '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'로 소명 가능
- 소명 불가: 공고일 이후 퇴사는 소명 불가 ❗
- 조사 방법: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통해 건강보험 자료 1순위 반영
공공임대주택 소득 기준은 해마다 오르므로, 반드시 최신 공고문을 확인하세요!
소득 기준이 없는 공고도 많으니, 미리 포기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지원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.
반응형
'부동산|내집마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H 행복주택] 2025년 1차 S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 (0) | 2025.05.04 |
---|---|
[2025년 필독] 청년원가주택 완벽 정리 – 청년·자취생 내 집 마련 필독 가이드 (0) | 2025.04.29 |
월세 거래 급증, 하지만 사기 위험은? (0) | 2025.04.28 |
요즘 뜨거운 감자, '지분형 주담대'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4.27 |
월세 재계약 시, 보증금 그대로 & 월세만 올랐다면? 꼭 알아야 할 3가지 (0) | 2025.04.26 |
청년주택드림청약으로 내집 마련 준비하기 (0) | 2025.03.07 |